
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기준이 대폭 완화됐습니다.
이제는 기준 중위소득 200% 이하 가정까지도 정부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맞벌이, 한부모, 다자녀 가정이라면 꼭 알아야 할 아이돌봄 꿀팁을 아래에서 정리해드릴게요.
📌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, 뭐가 달라졌을까?
✅ 정부지원 소득기준 확대!
- 기존: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→ 변경: 200% 이하로 확대
- 유형별 구분:
- 가형: 75% 이하
- 나형: 75%~120%
- 다형: 120%~150%
- 라형: 150%~200%
- 마형: 200% 초과 (정부지원 없음)
✅ 다형 & 초등 취학아동(6~12세): 지원율 상향!
✅ 이른둥이는 종일제 이용기간 +4개월 확대(총 40개월)
✅ 양육공백 인정 범위 확대
- 복직예정 → 취업예정일로 변경
- 온라인 취업교육도 인정 (수강 기간 명시 시)
✅ 긴급돌봄서비스 신설
- 2시간 전 신청 가능
- 2시간 이상 이용 (추가비용 3,000원)
✅ 등·하원 도우미 확대 운영
- 병원이용 시 대중교통·택시 동행 가능


👨👩👧 다자녀 가정, 혜택이 더 늘어났어요!
2025년부터는 12세 이하 자녀 2명 이상이면 ‘다자녀 가정’ 인정!
- 기존: 3자녀 이상 또는 36개월 이하 자녀 2명 이상
- 변경: 12세 이하 자녀 2명 이상이면 OK
💡 다자녀 가정은 이용요금 10% 추가 지원 + 서비스 우선 제공까지!
💰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비용 정리
서비스 유형 | 시간당 비용 | 지원단가(가~라형) |
영아 종일제 | 12,180원 | 10,354 ~ 1,828원 |
시간제 기본형 | 12,180원 | 10,354 ~ 1,828원 |
시간제 종합형 | 15,830원 | - |
질병감염아동 | 14,610원 | - |
기관연계형 | 18,600원 | - |
※ 다자녀는 둘째부터 50% 감액, 셋째도 동일
※ 본인부담금은 정부지원 제외 후 비용입니다.



✅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월소득표 (4인가구 기준)
- 75% 이하(가형): 4,574,000원
- 120% 이하(나형): 7,318,000원
- 150% 이하(다형): 9,147,000원
- 200% 이하(라형): 12,196,000원
👉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으로 계산되며, 노인장기요양보험료는 제외
📋 아이돌봄 신청방법
▶ 신청기간: 상시
▶ 신청 방법
- 방문 신청: 읍면동 주민센터 → 소득 유형 판정 → 지역 제공기관 연계
- 온라인 신청 (복지로)
- 소득산정 대상자 전원 직장가입자
- 공인인증서 필요
🔗 복지로 신청하기
▶ 문의처
- ☎ 아이돌봄 서비스: 1577-2514
- ☎ 홈페이지/온라인 문의: 1577-8136
- 💻 공식 홈페이지
🧒 아이돌봄 대상 기준 요약
- 연령 기준:
- 종일제: 3개월 ~ 36개월 이하
- 시간제: 3개월 ~ 12세 이하
- 양육공백 인정:
- 맞벌이, 한부모, 장애부모, 다문화가정 등
- 온라인 수업 및 취업 준비도 인정!
📌 꼭 기억하세요!
- 중복 수혜 불가: 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 수급 중이면 정부지원 불가
- 4시간마다 30분 휴게시간 제공
- 1회 이용 기준:
- 종일제: 3시간 이상
- 시간제: 2시간 이상
✨ 결론
2025년은 아이돌봄서비스의 최대 확대 시기입니다!
소득기준 완화, 다자녀 혜택 강화, 긴급돌봄까지 신설된 지금이 가장 좋은 신청 타이밍이에요.
👉 맞벌이, 한부모, 다자녀 가정이라면 꼭! 신청해보세요.
✅ 육아 부담은 줄이고, 정부 지원은 확실하게!


